발표자 소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mposite Functional Microstructures Based on Meniscus-guided 3D Printing


이종민
한림대학교, 교수



Abstract:

3D printers are widely used across industries for their cost-efficiency and rapid prototyping, yet they struggle with nanoscale precision. Traditional semiconductor methods can create 3D structures but are costly and complex, limiting their scalabilit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a novel 3D nanoprinting technique using 10 μm glass pipettes filled with a desired solution. When the pipette contacts the substrate, a meniscus forms, and rapid evaporation leads to nanoparticle assembly, creating nanoscale structures. This method allows precise diameter control by adjusting pipette speed, enabling the fabrication of intricate designs. It also supports a variety of materials for multifunctional structures, offering a versatile and efficient solution for applications in semiconductors, biosensors, and nanoelectronics.


Biography:
Prof. Jong-Min Lee is a professor in School of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Hallym University. He received Ph.D. degre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 Korea in 2016. His research interests mainly include nanofabrication, plasmonic nanostructures, biosensors, etc. He has published more than 10 JCR 10% journal, such as Biosensors & Bioelectronics, Nano Letters, Materials Today Nano, etc. He is principal investigator of Basic Research Laboratory program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AI 기술 (사례 중심)


김완경
씨큐어포인트, 수석




Abstract:

2024년 1월 27일부터 5인 이상의 사업장까지 확대 적용되는 중대재해처벌법 강화의 이유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통계와 중대재해 사례를 중심으로 주요 원인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중대재해는 안전 관리 부족, 장비 노후화, 작업자의 안전 의식 결여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이는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뿐 아니라 기업의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법적 강화가 추진되었습니다.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AI 기술이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AI 기반 영상 인식과 센서 분석을 통해 작업자의 이상 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제빵공장의 반죽기와 같이 사고가 빈번한 장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리 탐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상황을 소개합니다.


Biography: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2010년에 취득하였으며, 2016년에는 (주)HB솔루션(구, KMAC)에서 SW개발팀장 및 SW표준실장으로 재직하였습니다. 2022년부터는 (주)오션소프트의 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였으며, 현재는 (주)시큐어포인트에서 수석연구원으로 근무 중입니다.




양자시티 구현을 위한 양자정보통신 구성 요소 및 이슈 분석


문서연
강원테크노파크, 선임연구원




Abstract:

양자 정보 과학의 발전으로 양자 기술 분야는 실용적 엔지니어링을 지향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터, 양자 통신(암호화), 양자 센싱 등 양자 정보 및 통신(QICT: Quantu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기술은 최근 상업적 활용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양자 정보 기술들의 접목은 새로운 인프라, 구조물,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 기술과 양자 기술이 공존하는 ‘양자 도시’ 건설로 이어지며, 더 나아가 미래형 도시 공간의 발전을 이끌 수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양자 도시의 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과제를 논의합니다.


Biography:
문서연은 강원테크노파크의 선임 연구원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2018년 석사 학위, 2024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정보 보안과 양자 정보 및 통신(QICT)입니다. 현재 강원도에 양자 도시와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한 정부 프로젝트의 기획 및 조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무선 양자 통신과 양자 기술 산업화를 주제로 한 개별 연구 프로젝트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AI와 머신러닝에서의 양자 컴퓨팅


장경원
㈜브이더블유원, 양자 컴퓨팅 LAB 팀장




Abstract:

양자 컴퓨팅은 기존 컴퓨터의 한계를 넘어서 AI와 머신러닝에 큰 혁신을 가져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큐비트를 활용해 중첩(superposition)과 병렬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산 속도가 빠르고 에너지 효율도 뛰어나죠. 제약·화학, 자동차, 우주·항공, 인공지능, 교통·물류 등 여러 산업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양자 기술의 세계 시장도 빠르게 성장 중이며, 2030년에는 양자 컴퓨팅, 양자 암호통신, 양자 센서 분야에서 각각 107조, 25조, 2조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 2035년까지 양자 경제 중심국가로 자리 잡기 위해 기술 수준을 85%까지 올리고, 시장 점유율을 10%로 확대하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현재 양자 컴퓨팅의 목표는 기술 상용화와 대중화, 비용 절감, 윤리 문제와 규제 확립으로, 앞으로 양자 기술이 다양한 제품으로 일상에 스며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Biography: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머신러닝 분야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같은 대학에서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분야 박사 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학업과 함께 주식회사 VW1의 양자 컴퓨팅 LAB 팀장으로 재직 중이며, 최첨단 양자 컴퓨팅 응용 연구와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